안녕하세요. '사주집'의 현승리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용신 중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쓰이는 용신인 억부용신을 찾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 성명학 네 번째 법칙 : 필요오행 -4-
이 포스팅을 다 읽으시면 아래의 물음에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용신의 종류와 용신의 종류가 다양한 이유
- 억부용신 찾기
- 신강한 경우의 억부용신 찾기
- 신약한 경우의 역부용신 찾기
1. 용신의 종류와 용신의 종류가 다양한 이유
용신의 종류는 크게 5가지로 분류로 억부용신, 건강용신, 조후용신, 통관용신, 전왕용신 이렇게 나뉘어볼 수 있습니다. 용신이 이렇게 다양한 이유는 사주팔자에 따라 부족한 부분을 메울 수 있는 용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배가 아파서 병원에 간다고 생각했을 때, 배가 아프다는 결과를 처방하기 위해 원인을 살피는데 원인이 어제 과식을 했었을 수도 있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을 수도 있고, 선천적으로 위가 약한 까닭으로 자극적인 음식을 먹었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 과식을 했더라면 밤에 먹는 야식을 줄이라는 처방을 할 수 있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취미생활이 처방이 될 수 있고, 선천적으로 위가 약한 까닭에는 약으로 처방하는 방법이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사주에서 좋지 않은 부분이 발생했을 때 이것이 기운의 치우침이라는 것이 원인이 된다면 억부용신이라는 방법을 차용하고, 고립된 오행의 상태가 좋지 않아 보일 때 건강용신이라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또한, 사주가 뜨겁거나 너무 차가운 기운을 가질 때에는 조후 용신을 사용하고, 충 관계로 대립이 심한 상태에는 통관용신을 사용합니다. 마지막으로 나의 사주가 하나의 기운으로 에너지가 강하게 몰릴 때에는 전왕용신을 사용하게 됩니다.
2. 억부용신 찾기
억부란 抑(누를 억) 扶(도울 부)자를 써서 강한 것은 누르고 약한 것은 돕는다는 개념을 가진 용신 법입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용신을 찾을 때 억부용신을 사용하며 사주팔자의 50% 이상을 억부의 논리로 용신과 희신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억부용신의 논리에 따라 용신을 구해보겠습니다. 먼저 용신이란 나의 불완전한 사주를 보완해주는 기운으로 길한 작용을 합니다. 반면, 합화가 되어 다른 기운이 되어버리는 예외상황을 제외하고 통상적으로 대운이나 세운이 용신의 기운이 들어오면 길하다고 해석합니다. 희신은 용신을 돕는 기운이 되어 일반적으로는 용신을 생하는 기운의 희신이 됩니다.
억부용신을 찾기 위해서는 상생과 상극의 논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만일 나의 사주에서 나무의 기운이 많다고 했을 때는 나무를 극하는 금의 기운을 사용해서 나무를 억제하므로 금의 기운이 용신이 되고, 금의 기운을 생하는 토의 기운이 희신이 됩니다. 억부용신은 이런 논리로 용신을 찾는 것으로 세세하게 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신강한 경우
먼저, 나의 사주가 신강한 경우가 있고, 신약한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나의 사주가 신강한 편이라면 나의 기운을 강하게 만든 요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1) 내가 나무라면 나무의 기운이 많아서 신강해진 경우가 있을 거고, 아니면 (2) 내가 나무인데 물의 기운이 많아서 신강해진 경우가 있으며 (3) 둘 다 강해서 신강해진 경우가 있습니다.
자, 여기서 (1)의 경우는 비겁 과다로 인한 신강이라고 부르며, (2)의 경우는 인성과다로 인한 신강이라고 부릅니다. 그렇다면 비겁과 인성은 무엇일까요?
내가 나무의 기운이라고 한다면 나무의 기운은 나와 같은 기운이라는 뜻으로 비겁이라고 부릅니다. 식상이라고 하는 것은 내가 낳는 기운이 되어 불의 기운이 되고, 재성이라는 기운은 내가 억제하고 관리하는 기운으로 토가 됩니다. 관성은 나를 제어하는 기운으로 금의 기운이 되고, 인성은 나를 돕는 기운인 물이 됩니다.
그렇다면 이제 (1) 비겁과다로 인한 신강이라는 의미와 (2) 인성과다로 인한 신강이라는 말이 무엇인지 이해하셨습니다. 이에 대한 처방을 내려보겠습니다.
(1) 비겁과다로 인한 신강은 나무의 기운이 강하기 때문에 나무를 억제하는 것이 맞으므로 직접적으로 극을 관성의 기운을 이용해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때 용신은 관성(금)이 되고, 희신은 재성(토)이 됩니다.
(2) 인성 과다로 인해 신강이 된 경우는 나무의 입장에서 물이 과다해서 생긴 것으로 물을 제어하는 기운인 재성(토)이 용신이 됩니다. 희신은 용신을 돕는 식상(불)이 되겠죠!
(3) 둘 다 강해서 신강이 된 경우는 관성(금)을 용신으로 재성(토)을 희신으로 (1)과 같이 설정하면 됩니다.
가상의 명식을 보고 연습해보겠습니다. 해당 사주팔자는 70점으로 신강한 사주팔자가 되어 물의 기운을 타고난 사람이 물의 기운이 강화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비겁(물)이 강해서 강해진 것일까요? 인성(금)이 강해서 강해진 것일까요? 네! 비겁(물)이 강해서 강해진 그림입니다.
그러므로 정답은 용신은 물의 기운인 나를 제어하는 토의 기운이 용신이 되고, 희신으로는 토의 기운을 돕는 불의 기운이 됩니다.
② 신약한 경우
이번에는 나의 사주가 신약 하다면 용신과 희신은 어떻게 설정할 수 있을까요? 내가 나무인 경우에 (a) 불이 많아서 신약 해진 경우, (b) 토가 많아서 신약해진 경우, (c) 금이 많아서 신약해진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같은 논리로 (a)의 경우는 식상 과다로 인해 신약한 경우이며, (b)의 경우는 재성 과다로 인해 신약해진 경우, (c)의 경우는 관성이 많아서 신약해진 경우로 봅니다.
그렇다면 이제 (a) 식상 과다로 인한 신약한 의미와 (2) 재성과다로 인한 신약, (3) 관성과다로 인한 신약의 경우 이에 대한 처방을 내려보겠습니다
(a) 식상과다로 인해 신약이 되었다면 나의 기운을 보충해줘야 합니다. 이때 불을 제어하면서 나를 도와야 해서 인성(물)이 용신이 됩니다. 희신은 비겁(나무)가 되어 나의 기운을 보충합니다.
(b) 재성 과다로 인해 신약이 되었다면 나의 기운을 보충해줘야 합니다. 이럴 경우에는 토의 기운을 제어해야 해서 용신이 비겁(나무)가 되고 희신은 인성(물)이 됩니다.
(c) 관성 과다로 인해 신약이 되었다면 나의 기운을 보충해줘야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인성(물)이 관성(금)의 힘을 뺏는 역할을 하므로 인성(물)이 용신이 되고 비겁(나무)가 희신이 됩니다.
아래 가상의 명식을 보고 용신과 희신을 찾아보겠습니다. 해당 사주팔자는 금의 기운을 타고난 사람으로 시지에 토가 있으므로 20점으로 굉장히 신약한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약 해진 이유는 시간의 임, 일지의 자, 월지의 자의 기운으로 물의 기운이 왕성함에 따라 물이 사주의 조화를 방해하는 형국입니다.
금의 입장에서 물은 낳는 기운이라 식상에 해당이 되어 식상으로 인한 신약함이 성립이 됩니다. 이때 식상(물)을 제어해야 하므로 인성(토)의 기운이 용신이 되고, 비겁(금)의 기운이 희신이 됩니다.
'성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 작명소는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1) | 2022.10.10 |
---|---|
[성명학] 필요오행 5편 (건강, 조후, 통관, 전왕 용신찾기) (1) | 2022.09.23 |
[성명학] 필요오행 3편 (신강 vs 신약) (2) | 2022.09.21 |
[성명학] 필요오행 2편 (내 기운 보는 방법) (0) | 2022.09.20 |
[성명학] 필요오행 1편 (나에게 필요한 기운) (0) | 2022.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