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주집'의 현승리입니다. 필요오행 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5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억부용신외에 건강용신, 조후용신, 통관용신, 전왕용신을 찾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고 좋은 이름 짓기 시리즈를 마치겠습니다.
■ 성명학 네 번째 법칙 : 필요오행 -5-
이 포스팅을 다 읽으시면 아래의 물음에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건강용신 찾기
- 조후용신 찾기
- 통관용신 찾기
- 전왕용신 찾기
저번 포스팅에서 용신의 절반에 해당하는 억부용신에 대해서 소개를 해드렸습니다. 억부용신은 기운의 치우침이 발생했을 때 처방하는 방식으로 강한 기운을 제어하고 부족한 기운을 넣어주면서 용신과 희신을 찾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억부용신보다는 비중이 낮은 용신 방법론으로 간단히 소개하고 넘어가겠습니다.
1. 건강용신 찾기
건강용신은 병약용신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나의 사주 팔자에 심하게 고립된 오행이 있는 경우로 이때 이 고립된 오행이 관장하고 있는 신체 부위와 관련해서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려고 건강용신을 넣어줍니다! 그럼 고립된 오행이 있는 사주팔자를 봐야겠죠!
고립이란 주변에 나를 도와주는 기운이 하나도 없을 때 고립이라고 합니다. 지금 시지의 물(자수)를 보면 갑나무한테 기운을 뺏기고, 토(미토)한테 극을 당하는 형국으로 심하게 고립된 오행이 발생했습니다. 이럴 땐 저 시지의 물(자수)를 도와주기 위해서 (자수는 물이니까) 물의 기운을 용신으로 잡고, 물을 돕는 금의 기운을 희신으로 잡습니다.
다음의 경우도 살펴보겠습니다. 이번엔 천간인 시간 갑나무가 기운이 주변에 도와주는 나무와 물이 없는 상태입니다. 시간의 갑나무는 시지의 불(오화)에게 기운을 뺏기고 갑나무는 토(무토)를 극하니 기운이 나가는 기운밖에 없어 고립인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지지는 다소 복잡한 구성을 해서 구성요소를 나누어서 보는 데 이를 지장간이라고 합니다. 천간의 고립을 살필 때에는 지장간까지 살펴봐야합니다. 불(오화)의 지장간은 불(병화), 토(기토), 불(정화)로 여전히 갑나무를 지지하는 세력이 없기 때문에 확실한 고립으로 봅니다.
이때 시간인 갑나무를 살려줘야하기 때문에 나무의 기운이 용신이 되고, 용신을 돕는 물의 기운이 희신이 됩니다.
다음의 예시를 보겠습니다. 똑같이 시간인 갑나무가 고립되어 보이는 형태입니다. 지지의 토(진토)를 극하면서 갑나무의 힘이 빠지고 일간의 금(신금)이 갑나무를 극하면서 갑나무가 힘이 없는 상태로 보입니다.
하지만! 천간의 고립을 볼때는 지지의 지장간을 살펴봐야한다고 했는데 토(진토)의 지장간은 나무(을목), 물(계수), 토(무토)로 나무와 물의 기운이 진토안에 내장되어 있어 고립되어 있다고 보기 힘듭니다. 이때는 고립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건강용신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2. 조후용신 찾기
먼저 조후의 뜻은 調(조절할 조)와 候(기후 후)를 써서 기후를 조절한다는 뜻이 됩니다. 조후 용신은 계절적 기운을 따라서 봄의 기운이나 여름의 기운이 많으면 뜨거운 사주라고 판단합니다. 반대로 가을과 겨울의 기운이 많으면 차가운 사주로 보고 조후가 불균형하다고 판단합니다. 조후가 무너지면 무엇인가 해내려는 환경이 척박한 환경이 되어 하는 일이 잘 풀리지 않고 정신적인 질환도 올 수 있습니다. 이때 조후용신으로 사주를 바로잡는 역할을 합니다.
따뜻한 기운과 차가운 기운을 구분한 표입니다. 해당 천간과 지지의 오행에 따라서 차가운 기운인지 따뜻한 기운인지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선생님! 근데 토의 기운은 왜 따뜻한 기운이랑 차가운 기운이랑 나뉘어 구분이 되어지나요?" 토의 기운은 본래 환절기의 기운으로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잠깐의 기운을 토(진토)라고 하고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잠깐의 기운을 토(미토)라고 합니다.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간다고 해도 그때의 기후는 뜨겁기 마련입니다. 그러면 진토와 미토 모두 뜨거운 기운이 되겠죠? 반대로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토(술토)는 차가운 기운일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토(축토)도 늦겨울과 초봄사이의 기운으로 굉장히 추운 환경이라 차갑다고 구분합니다.
이제 아래의 예시 명조를 보겠습니다.
전반적으로 봤을 때 따뜻한 기운은 나무(을목)과 나무(묘목)이 8개의 글자 중에서 2개밖에 없습니다. 나머지의 기운은 대체로 가을과 겨울의 기운이 지배하고 있고 강력한 일지와 강력한 월지에도 겨울과 여름의 기운이 각각 자리하고 있어 조후가 무너져있는 대표적인 사주 팔자의 모습입니다. 이때는 따뜻함이 필요하기 때문에 계절적으로 여름을 뜻하는 불의 기운이 용신이 되고, 계절적으로 봄의 기운을 뜻하는 나무의 기운의 희신이 됩니다.
3. 통관용신 찾기
통관의 뜻은 通(통할 통)에 關(관계할 관)자를 써서 서로 통하게 만들어준다는 뜻이 있습니다. 통관용신은 사주팔자의 명식이 극한의 대립으로 이어지는 경우에 쓸 수 있어 굉장히 예외적인 상황이 쓰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의 명식을 보겠습니다.
지지의 사해충이 2개가 있고 천간에 정계충이 있어 사주에서 불과 물이 심각하게 대립하고있는 형국입니다. 이때 물과 불사이에 나무를 넣어주면 어떻게 될까요?
물은 나무에게 기운을 주고 나무는 불에게 장작을 제공하면서 극한의 대립으로 몰렸던 둘의 관계가 상생의 관계가 되며 서로 관계하며 통하게 만들어 줍니다. 그래서 이때 나무의 기운은 용신이됩니다. 희신은 특이하게 토가 됩니다. 희신이 토가 되는 이유는 물과 불을 둘다 제어해야 하는데 나무의 기운을 돕겠다고 물을 희신으로 삼으면 물과 불사이에 물의 편을 들어주는 꼴이 됩니다. 그래서 불의 기운도 제어하고 물의 기운도 견제할 수 있는 토의 기운이 희신이 됩니다.
4. 전왕용신 찾기
전왕의 뜻은 專(오로지 전) 旺(왕성할 왕)을 써서 오로지 왕성한 기운이라고 해석합니다. 하나의 기운으로 몰리는 것으로 이것도 용신법 중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일은 많이 없는 편입니다. 다음의 명식을 보겠습니다.
오행의 거의 모든 기운이 물로 수렴하면서 물의 기운이 굉장히 강력한 상태입니다. 이때 물을 제어하는 토를 쓰면 어떻게 될까요? 토가 물을 제어한다는 이론은 토라는 제방이 물을 흘러 넘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건데 지금과 같은 상황이면 제방을 쌓더라도 제방을 넘어 물이 넘치게 됩니다.
이때는 강력한 물의 기운을 인정하고 물의 기운으로 세상을 살아야 합니다. 그래서 이때는 오히려 물의 기운이 용신이 되고 물을 돕는 금의 기운이 희신이 됩니다.
전 포스팅을 포함해서 소개된 5가지 용신법을 토대로 나의 사주에서 필요한 기운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성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 작명소는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1) | 2022.10.10 |
---|---|
[성명학] 필요오행 4편 (억부용신 찾기) (0) | 2022.09.22 |
[성명학] 필요오행 3편 (신강 vs 신약) (2) | 2022.09.21 |
[성명학] 필요오행 2편 (내 기운 보는 방법) (0) | 2022.09.20 |
[성명학] 필요오행 1편 (나에게 필요한 기운) (0) | 2022.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