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사주집의 '현승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삼합(三合)이 무엇인지 삼합(三合)의 종류가 어떻게 되는지 삼합(三合)의 작용되는 예시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 합과 충 : 삼합(三合)
삼합이 三(석 삼) 合(합할 합)인 이유는 기본적으로 3개의 기운이 만나 합을 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삼합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삼합은 계절적인 요인에 의해서 만들어진 기운으로 봄의 삼합인 해묘미, 여름의 삼합인 인오술, 가을의 삼합인 사유축 마지막으로 겨울의 삼합인 신자진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삼합의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다시피 모두 지지와 관련한 글자가 되어 삼합은 지지에서 일어나는 합의 작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삼합을 공부하게 되면 지장간의 요소를 세세하게 살펴보게 되어서 사주팔자 전체에 대한 이해와 공부를 하기 가장 큰 도움이 되는 합입니다.
● 삼합(三合)의 원리가 무엇일까요?
● 삼합(三合)의 종류가 어떻게 될까요?
● 삼합(三合)의 적용 예시는 어떻게 될까요?
1. 삼합(三合)의 원리가 무엇일까요?
삼합은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계절과 연관이 깊은 지지의 합이 됩니다. 삼합의 원리를 따져보려면 지장간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지장간은 위와 같이 복잡하게 생겼는데, 하나 하나 뜯어보면 어려울 것이 없고 오히려 규칙성을 발견하게 됩니다. 가장 왼쪽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인 계절로 구분했고 각 계절에 따른 지지는 봄인 인, 묘, 진과 여름은 사, 오, 미 가을인 신, 유, 술 겨울인 해, 자, 축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이는 방합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방합은 추후에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계절의 시작 '인신사해'
계절의 시작을 나타내는 인신사해를 먼저보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그중에 예시를 쉽게 들기 위해서 지지인 '인'의 관점에서 해석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지지 '인'에는 무, 병, 갑이라는 요소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자 위의 그림을 보면 나무의 기운은 봄의 기운으로 같이 해석을 해도 되고, 불의 기운은 여름의 기운, 토의 기운은 환절기의 기운, 금의 기운은 가을의 기운, 물의 기운은 겨울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다시, 지지 '인'의 지장간의 요소를 보면 무, 병, 갑은 각각 환절기, 여름, 봄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이때 가장 앞자리에 놓인 무는 여기라고 부르며 인이라는 계절의 처음을 뜻합니다.
이 시기는 차가운 겨울에서 봄으로 전환하는 전환점이므로 환절기를 뜻하는 무가 오게 된 것입니다.
다음으로 '인'의 가운데 글자 중기를 보면 병, 여름의 글자가 들어오는데 여름이 들어온 이유는 다음 계절의 꿈을 품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그 다음의 규칙을 발견하게 되는데 항상 계절의 첫 글자에 해당하는 즉, 인신사해의 지장간을 살펴보면 항상 지장간의 가운데인 중기에 다음 계절의 꿈을 품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기는 나의 본연의 모습을 나타내는 기운으로 인은 양의 기운을 가진 나무라 나를 제대로 보여줄 수 있는 갑목이 위치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이치로 여름의 계절의 시작을 나타내는 사화를 살펴보면 계절의 전환이 있었으므로 지장간에 무가 오게 되고, 가을이라는 다음 계절을 품으므로 가을을 뜻하는 경이 옵니다. 또한 마지막으로 자기 자신 본연의 모습을 보여줘야 하니, 정기로는 병화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 계절의 절정 '자오묘유'
이제 계절의 가운데 글자인 자오묘유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오묘유의 특징은 계절의 정점에 해당하는 기운입니다. 봄의 경우에는 완연한 봄의 기운이 왔음을 의미하는 것이 묘의 기운이고, 여름의 경우 강렬한 여름의 기운을 나타나는 것이 오의 기운이 되는 것입니다.
이처럼 계절의 정점에 이르는 지지의 지장간은 중기가 없는 것이 특징인데 그 계절의 절정을 내보이기 위해서는 자신의 기운을 다해야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특징으로 묘를 보면 인목의 정기에서 준 갑목의 기운을 가지고 중기는 없으며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정기인 을로 마무리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가을의 정점인 유를 보더라도 그 전 계절인 신이 정기에서 주고간 경을 여기로 이어받고 중기는 없으며, 정기로 자기 자신의 기운인 신을 쓰게 됩니다.
그렇지만 이상한 점이 보입니다. 겨울의 절정도 중기가 없는데 여름의 절정인 중기에만 기라는 글자가 들어가 있습니다. 이는 예외사항이 되는데 불의 특징은 끝없이 확산하려는 하는 성향을 가지는데 그것이 환절기인 기토로 한번 잡아주고 가지 않으면 걷잡을 수 없이 확산이 되어 불의 기운으로 가득 차 끄지 못하는 불이 되어 지지의 '오'만 특별하게 중기에 기라는 글자가 들어가게 됩니다.
ⓒ 계절의 마무리 '진술축미'
마지막으로 계절의 마지막 글자인 진술축미를 살펴보겠습니다. 계절의 마지막 글자들은 그 계절을 마무리하고 다다음 계절의 씨앗으로 남기며 땅에 묻어보내는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쉬운 예시를 들기 위해 가을의 마무리에 해당하는 술이라는 글자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술의 여기를 살펴보면 유에서 정기로 넘겨준 신을 그대로 받아서 시작하고, 지장간의 가운데인 중기는 다음계절을 피우기 위한 준비를 하는데 술은 가을의 기운이므로 다음 계절인 겨울을 피우기 위해서는 여름의 불씨를 묻어야 합니다. 앞서 설명드린 대로 진술축미의 목표는 다음 계절을 이어 주기 위해서 필요 없는 기운을 모두 소진시켜 땅에 묻는 것인데 겨울을 피우기 위해서는 여름에 해당하는 불의 불씨를 묻어야 하므로 이때 정이라는 글자가 들어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술의 마지막 글자인 정기에 대해서는 계절의 전환이 이루어지므로 환절기에 해당하는 토의 기운이 들어가게 됩니다. 여기서 규칙을 하나 발견할 수 있는데 봄에서 여름, 여름에서 가을, 가을에서 겨울, 겨울에서 봄으로 전환이 되는 마지막 글자 즉, 진술축미가 계절의 마지막 글자가 되는데 이때의 지장간의 정기를 보면 항상 환절기의 기운은 토의 기운이 자리잡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계절을 전환해주는 토의 기운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2. 삼합(三合)의 종류는 어떻게 될까요?
삼합의 원리를 알아보기 위해 지장간에 대해서 심도있는 이야기를 했는데 위의 것을 통해 삼합의 종류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봄의 삼합을 먼저 보면 봄의 시작은 겨울의 '해'라는 글자에서 다음 계절의 꿈을 품기 때문에 '해'에서 시작을 하고 봄의 절정에 해당하는 '묘'에서 계절의 절정을 맞습니다. 또한 봄을 묻는 '미'에서 가을을 만들기 위해 나무의 기운을 묻어버리는 것이 삼합의 작용이자 원리가 됩니다. 그런 이유로 봄의 삼합은 '해묘미'가 됩니다. 이는 계절의 씨앗, 절정, 저장 세 가지 단계를 뜻하는 합의 작용이 됩니다.
이때 여름의 삼합을 보면 같은 이치로 '인오술'이 되고, 가을의 삼합은 '사유축', 겨울의 삼합은 '신자진'이 되어서 세 기운이 합쳐지게 된다면 계절의 가운데 기운으로 합이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시로 사주에 해묘미가 합쳐져있다면 이것은 봄의 삼합이고 가운데 글자인 묘의 기운으로 합이 되는 것이니 나무의 기운으로 모두 수렴하는 특징으로 볼 수 있습니다.
3. 삼합(三合)의 성립 조건은 어떻게 될까요?
삼합은 세 개의 기운이 막강한 해당 기운을 활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합해서 기운이 변하는 것을 합화 되었다고 이야기하는데 합화 된 기운이 나에게 용신으로 작용하냐 기신으로 작용하냐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만일 용신으로 작용하게 되면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똘똘 뭉쳐서 돌파하는 힘이 생기는 것으로 기존에 걱정거리가 없다면 문제 요소를 발견하고 하나씩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강한 힘으로 작용합니다.
만일 이것이 기신으로 작용하게 된다면 이렇게 똘똘뭉친 힘이지만 나는 사실 벗어나고 싶은 욕망이 있으나 주변의 상황이나 주변의 눈치로 인해서 내가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 내가 이리저리 끌려다니는 모양이 될 수 있습니다.
용신과 기신의 적용의 예외로 둔다면 해당하는 십신과 육친이 활성화되는 특징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일 기신의 작용이 예상이 된다면 십신과 육친을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개운 방향을 잡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해묘미 삼합의 작용으로 나무의 기운이 자리를 잡았다고 했을 때, 나는 이미 나무의 기운인 재성운이 가득 차 있는 상태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삼합의 작용으로 기신운이 가득한 상황이므로 재물이나 아버지에 의해 내가 눈치를 보거나 속박되고 구속되어 있어서 제대로 뜻을 펼치지 못하는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차라리 십신인 재성을 활용해야 하는데 재성은 목표와 목적달성을 의미하는 기운이므로 눈치 보고 속박되는 기운으로 나의 기운을 쓰는 것이 아니라 목표를 세우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이것이 결국은 재물로 가는 계획이나 목표가 되면 눈치를 보거나 속박되는 기운으로 사용하지 않고 나의 인생을 조금 더 주체적으로 살 수 있게 도와줄 수 있습니다.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과 충] 방합(方合) : 계절 그 자체의 기운으로 똘똘 뭉친 힘 (0) | 2022.11.17 |
---|---|
[합과 충] 반합(半合) : 삼합(三合)의 힘을 담아 반합(半合)으로 (0) | 2022.11.16 |
[합과 충] 천간(天干)합 : 하늘의 흐름이 합해져 다른 기운으로 (0) | 2022.11.12 |
나한테 甲년..? 丑월..? 이 좋다고 했는데 언제인지 어떻게 아나요? (feat. 간지력 쉽게 보는 2가지 방법) (0) | 2022.10.12 |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구분 (1) | 2022.10.11 |
댓글